똥의 어원은 정확히 밝혀진 것은 없으며,
옛날 재래식 변소에서 대변을 볼 때 튀는 소리로 의성어를 경음화한 것이 아닐까 추정하고 있습니다.
<똥고집>은 <옹고집>의 속어로 쓰이는 말이며,참고로 옹고집은 억지가 매우 심하여 자기 의견만 내세워 우기는 성미,
또는 그런 사람을 일컫는 말이며, 비슷한 말로 땅고집,쇠고집이 쓰이고 있어요.
<똥고집>의 똥은 접두사로 굳이 의미를 찾자면 더러운의 의미 보다는 매우 완강한,매우 심한 정도의의 의미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 똥의 어원
똥의 어원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영어의 덩(dung)에서 온 것인지, 아니면 실제 시골 변소에서 장마철에 볼일을 볼 때 튀는 소리를 경음화하여 kskxos 의성어인지 확실치 않다. 조선시대의 기록에도 똥이란 표현이 있는 것으로 보면 후자일 가능성이 많으며, 그렇다면 순수 우리말 표현이다.
한자로는 분(糞)이고, 일본식 한자 표현으로는 시(屎)이다. 둘 다 기본적으로는 쌀(米)자로 표현하고 있다. 분의 경우 쌀이 다르게 변화된 것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시는 쌀이 썩었다는 내용으로 표현하고 있다. 쌀 문화권의 동양사회에서 똥은 당연히 쌀이 소화되어 변화되고 남은 찌꺼기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똥을 기피하고 싫어하는 것은 변소에 대한 표현에서 찾을 수 있다.
변소, 통시, 정낭, 화장실 등 이름이 여러 가지이다. 영어에서도 toilet, bath room, comfortroom, restroom 등이 사용되고 있다. 아무리 달리 표현해도 변소는 변소일 뿐이다. 불치병을 고쳤던 똥도 오염물질 옛날에는 나무에서 떨어져서 요지부동 못 하는 사람이나 불치병에 걸린 사람에게 마지막으로 써 보는 약이 똥이었다.
하루에 한 사람이 약 1리터, 반 되 정도의 똥,오줌을 배출한다. 이 중 90%가 오줌이고, 10%가 똥으로 되어 있다. 똥.오줌의 배출량은 나라별로 다소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보통 체구가 클수록 똥.오줌의 배출량이 많다. 똥.오줌을 구성하는 성분도 식생활 습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 똥고집「명사」옹고집을 속되게 이르는 말.
○ 똥고집을 부리다.
□ 옹고집 (壅固執) 「명사」억지가 매우 심하여 자기 의견만 내세워 우기는 성 미. 또는 그런 사람. 비슷한 말로 땅고집,쇠고집이 쓰임
○ 옹고집을 부리다
○ 궐자가 고집 하나는 타고난 옹고집이라 다루기가 만만찮사오나, 이 일을 소인한테 맡기신다면 제가 요령껏 작자를 구슬려 볼까 하옵니다.≪송기숙, 녹두 장군≫
□ 왕고집 (王固執)「명사」아주 심한 고집. 또는 그런 고집을 부리는 사람.
○ 왕고집을 쓰다
○ 그는 천하에 둘도 없는 왕고집이다.
○ 그 왕고집을 누가 당하겠어?
□ 땅-고집 (-固執) 「명사」융통성이 없는 지나친 고집.
○ 땅고집을 부리다
○ 땅고집을 세우다
○ 그의 땅고집에 당할 사람이 없다.
□ 쇠-고집 (-固執) 「명」 몹시 센 고집. 또는 그런 고집이 있는 사람.
○ 쇠고집을 부리다
○ 동생은 쇠고집이라서 아무도 고집을 못 꺾는다.
○ 웬만한 말로는 쇠고집의 아들 생각을 꺾을 수 없다는 것을 안 유씨 부인은 잠시 생각을 쥐어짰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쇠고집과 닭고집이다 : 하고 싶은 대로 하고야 마는 소나 닭처럼 고집이 몹시 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똥, 어원, 옛날, 재래식, 변소, 대변, 때, 소리, 의성어, 경음, 추정, 똥고집, 옹고집, 속어, 말, 참고, 억지, 의견, 성미, 사람, 땅고집, 쇠고집, 접두사, 의미, 운, 정도, 영어, 덩, 실제, 시골, 장마철, 일, 조선, 시대, 기록, 표현, 후자, 가능, 순수, 우리말, 한자, 분, 糞, 일본식, 시, 기본, 쌀, 米, 경우, 변화, 내용, 문화, 동양, 사회, 소화, 찌꺼기, 동, 서양, 기피, 통시, 정낭, 화장실, 이름, 사용, 불치병, 오염, 물질, 나무, 요지부동, 마지막, 약, 하루, 반, 되, 오줌, 배출, 량, 나라, 차이, 보통, 체구, 구성, 성분, 식생활, 습관